문서 위치
본문내용
-
- 문학의이해 (Understanding Literature)
- - 각기 다른 장르의 글을 통하여 장르간의 특성과 차이를 구별한다.
- 문학의 태동과 역할을 공부한다.
- 문학의 발전 양상과 문학의 지향점을 알 수 있다.
-
- 문장연습 1 (Practice of Sentence 1)
- - 다양한 문체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.
-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바른 문장을 통해 완성할 수 있다.<
-
- 고전읽기(Reading Masterpieces)
- - 국내외 고전문학작품들을 강독하고 그 작품세계를 이해한다.
- 고전문학 작품들의 특징과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.
-
- 문학과사회 (Literature and Society)
- - 문학 안에 반영된 사회를 통하여, 현실을 파악할 수 있다.
- 문학과 사회의 상관관계를 공부한다.
- 사회가 문학 안에서 어떻게 형상화, 구체화되는지 이해한다.
-
- 문장연습 2 (Practice of Sentence 2)
- - 다양한 문체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.
-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바른 문장을 통해 완성할 수 있다.<
-
- 문예창작기초(Basic to Literary Writing)
- - 문예창작의 기초 이론을 체득한다.
- 초보적 수준의 문예창작물을 완성하고 서로 평가하며 토론한다.
-
- 시창작기초 (Basic to Poetry Compositions)
- - 자신만의 시 창작 발상법을 공부한다.
- 시를 통한 사고의 구조를 파악한다.
-
- 소설창작기초 (Basic of Fiction Writing)
- - 서사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.
- 다른 문학과 소설의 차이점을 찾고, 그 특성에 맞게 주제를 형상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.
-
- 한국현대시문학사 (Teaching Method of Reading)
- - 현대 시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.
- 시대별 특징과 변천과정을 공부한다.
- 현대 시의 발전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분석한다.
-
- 한국희곡의 이해(Understanding Korean Drama)
- - 극문학의 일반적 특징과 유형에 대하여 이해한다.
- 한국희곡의 흐름과 시대별 특징을 이해한다.
- 현대 한국희곡 작품의 다양한 전개양상을 이해한다.
-
- 한국현대소설사 (History of Korean Current Fiction)
- - 시대별 특징과 대표적인 작가들을 공부한다.
- 전반적인 한국 현대 소설의 특징을 파악하고 소설의 변천단계와 그 요건에 대해서 공부한다.
-
- 문예비평의이해 (Understanding Literary Criticism)
- - 비평의 방법과 종류를 공부한다.
- 자신만의 시각으로 문학을 비평하여 본다.
-
- 희곡창작기초 (Basic of Drama Writing)
- - 다른 문학과의 차이를 통해 희곡의 특성을 파악한다.
- 표현 양식의 기초적 기법을 익힌다.
-
- 동시창작실습(Practice of Children’s Poetry)
- - 동시의 특징과 표현방법에 대하여 이해한다.
- 아동의 눈높이에서 사물을 이해하고 상상할 수 있다.
-
- 방송원고작성법(Writing of Broadcasting Script)
- - 방송원고작성에 대해 파악하고 익혀본다.
- 직접 작성해보고 합평해 본다.
-
- 한국현대소설읽기 (Reading on Korean Current Fiction)
- - 소설의 바른 읽기, 해석법을 공부한다.
- 소설사적으로 의미있는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파악하고, 배경을 이해한다.
-
- 독서와논술(Reading and Essay)
- -독서지도법과 논술지도법을 학습한다.
-올바른 독서감상문 쓰기와 논술문 작석법을 익혀본다.
-
- 시나리오창작기초(Basic to Scenario Writing)
- - 다른 문학과의 차이를 통해 시나리오의 특성을 파악한다.
- 시나리오의 기본 작법을 익힌다.
-
- 시창작실습 1 (Practice of Writing of Poetry 1)
- - 시를 직접 창작하여 비판, 토론하고 퇴고하는 과정을 실습한다.
- 자신만의 언어를 구체화시키고 표현할 수 있도록 연습한다.
-
- 소설창작실습 (Practice of Fiction Writing)
- - 희곡 창작의 이론을 적용하여 직접 자신의 작품을 만들어 나간다.
- 서양 명작들을 분석하고, 모작한다.
-
- 수필창작실습 (Practice in Writing of Essay)
- - 수필의 역사와 이론을 바탕으로 직접 창의적인 수필을 창작해 본다.
- 명작 수필들을 분석, 감상하고 패러디한다.<
-
- 시나리오창작실습 (Practice Scenario Writing)
- - 다양한 장르의 시나리오를 직접 창작해본다.
- 시나리오 창작의 이론과 실재를 공부한다.
- 창작시나리오를 완성하고 토론하다.
-
- 시창작실습 2 (Practice of Writing of Poetry 2)
- - 시를 직접 창작하여 비판, 토론하고 퇴고하는 과정을 실습한다.
- 자신만의 언어를 구체화시키고 표현할 수 있도록 연습한다.
-
- 동화창작실습(Practice of Fairy tale)
- - 동화의 역사와 그 특징을 이해한다.
- 창작 동화를 완성하고 서로 토론한다.
-
- 시창작세미나1 (Seminar in Writing of Poetry 1)
- - 시의 이론과 역사적 흐름을 배경삼아 자신의 시를 창작해 본다.
- 시 창작과정에서의 토론과 세미나를 통해 시작 경험을 풍부히 한다.
-
- 소설창작세미나1 (Seminar in Writing of Fiction 1)
- - 소설의 이론과 효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직접 창작해 본다.
-
- 교정교열실습(Practice of Proofreading and Revision)
- -문학작품 원고를 교정하고 교열하여 본다.
-헷갈리기 쉬운 문법을 익히고, 실용문을 고쳐 써본다.
-
- 희곡창작실습 (Practice in Writing of Drama)
- - 명작 희곡들을 대상으로 한 패로디작품을 완성해 본다.
- 당대적 소재를 바탕으로 한 희곡을 창작해 본다.
-
- 시창작세미나2 (Seminar in Writing of Poetry 2)
- - 지금까지 축적해 온 지식을 바탕으로 시를 직접 지어보고, 완성시켜 본다.<
-
- 소설창작세미나2 (Seminar in Writing of Fiction 2)
- - 지금까지 배워 온 소설의 기본 창작 지식으로 직접 소설을 써보고, 완성시켜 본다.
-
- 극작세미나 (Semonar in Dramaticc Writing)
- - 희곡과 시나리오의 특성을 익힌다.
- 희곡과 시나리오를 창작하여 본다.
-
- 출판편집실습 (Practice of Publishing Editing)
- - 출판, 편집의 정의와 중요성을 이해한다.
- 한 권의 책이 발매되어 유통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직접 배워본다.
본문 다시읽기
리뷰컨텐츠는 현재 페이지의 본문내용에 다시 접근할 수 있도록 링크를 제공합니다.